| 오방색(오정색)
중앙 | 황(Y/vv)
동쪽 | 청(PB/vv)
서쪽 | 백(N9.5)
남쪽 | 적(R/vv)
북쪽 | 흑(N1.5)
음양오행설은 오행인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가 음양의 원리에 따라 순환함으로써 우주의 만물이 생성하고 소멸하게된다는 동양 철학 사상입니다.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과 양으로 설명하는 음양설과 이 영향을 받아 만물의 생성소멸을 토(土), 목(木), 화(化), 금(金), 수(水)의 변전으로 설명하는 오행설을 함께 묶어 이릅니다.
이와 같은 음양오행 사상과 동양철학을 바탕에 두고 있는 색이 바로 '오방색' 혹은 '오정색'으로도 불립니다.
음양오행은 생활사적으로 우리의 관혼상제나 의복, 민속, 주거, 제례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학문적으로도 인문지리인 동시에 자연과학 및 철학으로, 서양 학문이 갖고 있는 분리적 성격을 극복하고 있는 통합 학문입니다.
음양오행 사상에 따르면 백색, 황색, 적색은 양이고 청색, 흑색은 음으로 나뉘어집니다.
황색은 중앙의 색이며 오행 가운데 토(土)의 기운을 갖고 있습니다.
청색은 동쪽의 색이며 오행 가운데 목(木)의 기운을 갖고 있습니다.
적색은 남쪽의 색이며 오행 가운데 화(化)의 기운을 갖고 있습니다.
백색은 서쪽의 색이며 오행 가운데 금(金)의 기운을 갖고 있습니다.
흑색은 북쪽의 색이며 오행 가운데 수(水)의 기운을 갖고 있습니다.
청색과 적색은 양(陽)의 색으로 동방과 남방의 방위에 해당되며, 길례, 빈례, 가례때 많이 사용된 색입니다.
흑색과 백색은 음(陰)의 색으로 서방과 북방의 방위에 해당되며 백색은 진실, 쇠퇴를 가리키며 사별을 뜻하기도 하고 흑색은 태양이 사라진 뒤의 어두움과 고요함을 뜻하는 색이였습니다.
흑, 백, 적색 등이 재앙을 막아준다하여 아이들의 의복이나 장신구에 많이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 오간색
컬러 : 녹색(G/vv), 벽색(B/lt), 홍(YR/vv), 자(R/dp), 유황(Y/기본톤)
음양오행 사상에서 음(陰)에 해당되는 색입니다.
오간색은 두가지 오방색이 합쳐진 것으로 홍, 자, 유황, 녹, 벽 다섯가지 색깔이 있습니다.
오방색 간의 사이색이라고 생각하면 쉬운데 개인적으로 오간색을 외우기가 힘들어서 요건 그림그려서 암기했습니다
사실 필기시험때도 요 오간색 문제를 틀려서 더욱 열심히 익히는중입니다
외우려하기보단 그림을 그리며 오방색 사이에 오간색을 하나씩 끼워넣는 형식으로 생각한다면 훨씬 더 쉽게 암기가 될 것입니다
녹색 = 황색 + 청색
벽색 = 백색 + 청색
유황색 = 황색 + 흑색
자색 = 적색 + 흑색
홍색 = 적색 + 백색
'컬러리스트 준비 > 실기대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사조 색채 2탄_중세시대/ 르네상스] 다채롭고 선명한 순색/ 차분하고 가라앉은 색조 (0) | 2019.04.20 |
---|---|
[미술사조 색채 1탄_이집트양식/ 그리스양식] 강하고 선명한 색채/ 제한된 색채 (0) | 2019.04.19 |
[색채조화이론] 파버 비렌의 조화론/ 요하네스 이텐의 조화론 (0) | 2019.04.19 |
[색채조화이론] 쉐뷰럴의 조화론 / 저드의 조화론 (0) | 2019.04.19 |
[컬러 배색기법] 비콜로 & 트리콜로 배색_국기에 많이 쓰이는 배색 (0) | 2019.04.18 |